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이것저것

연봉 4천 실수령액 실화? 4대보험 포함 실제 수령액 공개

by omokan 2025. 3. 29.

연봉 4천 실수령액 실화 4대보험 포함 실제 수령액 공개
연봉 4천 실수령액 실화 4대보험 포함 실제 수령액 공개

 

연봉 4천이면 넉넉하게 살 수 있을 줄 알았는데… 통장에 찍힌 금액 보고 놀라셨나요?

 

요즘 월급날마다 통장 찍히는 숫자에 자꾸 심장이 덜컹거리는 저예요. 얼마 전에 친구랑 밥 먹다 “연봉 4천인데도 왜 이렇게 빠듯하냐”는 얘기를 꺼냈는데요, 다들 공감하더라고요. 숫자로 보면 4천이면 괜찮은 것 같은데, 막상 들어오는 돈은 생각보다 적죠. 그거 다 4대 보험이랑 세금 때문인 거 아시죠?

 

저도 처음엔 몰랐다가 급여명세서 찬찬히 들여다보고 진짜 놀랐어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연봉 4천만원 받을 때 실제 통장에 꽂히는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어디서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더 챙겨 받을 수 있는지 정~말 현실적으로 풀어보려고 해요.

월급 333만원, 실제 수령액은 얼마?

2025.03.29 - [생활정보이것저것] - 2025 연봉 실수령액표 | 연봉 3천~1억까지 세후 정리

 

2025 연봉 실수령액표 | 연봉 3천~1억까지 세후 정리

"연봉 1억인데 왜 이렇게 빠져나갈 게 많지?" 2025년, 당신이 진짜 손에 쥐는 금액은 얼마일까요? 요즘 부쩍 월급 명세서를 보며 한숨 쉬는 일이 많아졌어요. 연봉은 분명 오르고 있는데, 매달 통

omokan.tistory.com

 

연봉 4천만원이면, 딱 계산하면 월급이 333만 원 조금 넘어요. 세전 기준이죠. 그런데 월급날 딱 통장 열어보면 280만 원대, 많아야 310만 원대… 이상하지 않으세요? 이 차이가 바로 4대 보험과 세금 때문이에요.

 

2025년 기준으로 연봉 4천만 원 받을 때 실제 월 실수령액은 약 278만 원에서 312만 원 사이예요. 대략 평균을 내면 291만 원쯤 되고요. 연간으로 보면 약 3,500만 원 정도 받아요. 그럼 대체 얼마가 빠져나가는 걸까요? 계산해 보면 매달 45만 원에서 55만 원이 세금과 보험료로 공제됩니다. 생각보다 꽤 크죠?

 

그니까요, 연봉 4천만원이라고 해도 실수령은 그보다 한참 낮다는 거, 꼭 기억해두셔야 해요. 그리고 이건 기본적인 조건으로 계산한 거라서, 부양가족 수나 비과세 항목, 상여금 여부에 따라도 달라질 수 있어요.

4대보험과 세금, 도대체 얼마나 떼가나

급여에서 빠져나가는 금액,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4대 보험이에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네 가지죠. 산재보험은 회사가 전액 부담하니까 우린 계산 안 해도 돼요.

항목 월 납부액(예상) 비율
국민연금 약 145,490원 4.5%
건강보험 약 100,870원 3.545%
장기요양보험 약 12,000원 건강보험료의 약 12.9%
고용보험 약 30,000원 0.9%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120,000원 3.6%

총합하면 월 약 417,000원 정도가 공제돼요. 세전급여의 12.5% 정도가 사라진다는 거죠. 이래서 실수령액이 확 줄어드는 거예요.

다른 연봉대랑 비교하면 어떨까?

“나만 이렇게 적게 받는 건가?” 싶을 수 있는데요, 다른 연봉대랑 비교해보면 실수령액 차이가 더 명확해져요. 아래 표 한번 보세요.

  • 연봉 3천: 월 약 2,250,000원 수령 (세후 비율 75%)
  • 연봉 3천5백: 월 약 2,600,000원 수령
  • 연봉 4천: 월 약 2,917,143원 수령
  • 연봉 4천5백: 월 약 3,250,000원 수령
  • 연봉 5천: 월 약 3,552,316원 수령

연봉이 오르면 당연히 공제되는 금액도 늘어나고, 세금도 누진적으로 올라가요. 그래서 연봉 1천만 원이 더 높다고 해도, 실수령액 차이는 그만큼 크진 않을 수 있어요.

실수령액을 좌우하는 숨은 변수들

연봉은 같아도 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어요. 그 차이를 만드는 건 숨은 변수들 때문이죠. 예를 들어 부양가족 수, 비과세 항목, 상여금, 연말정산 결과 등 다양하게 영향을 줘요.

 

저도 예전에 부양가족 입력을 깜빡해서 세금 많이 나간 적 있었는데요, 한 명만 추가해도 꽤 큰 차이가 나더라고요. 또 회사에서 식대나 교통비 같은

비과세 항목

제공 여부에 따라 월급이 훨씬 달라질 수 있어요.

 

그리고 또 하나, 상여금과 인센티브. 연봉에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월급과는 별도로 지급되는 경우가 많아서 해당 월 실수령액이 높아지기도 하죠. 마지막으로 연말정산 결과에 따라 세금이 추가로 빠지거나, 환급될 수도 있어요.

나도 직접 계산해볼 수 있을까?

궁금하다면 직접 계산도 가능해요. 아주 간단한 산식이 있거든요. 물론 정확한 계산은 공제 항목마다 약간씩 달라지지만, 기본 원리는 이래요.

항목 계산식
국민연금 월 세전 급여 × 4.5%
건강보험 월 세전 급여 × 3.545%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 × 약 12.8%
고용보험 월 세전 급여 × 0.9%
소득세/지방소득세 국세청 간이세액표 기준 + 10%

귀찮다면? 네이버 연봉계산기사람인 실수령액 계산기 이용하면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실수령액 높이는 현실적인 팁

  • 비과세 항목 적극 활용: 식대, 차량유지비, 자녀학비보조 등
  • 연말정산 공제 항목 최대로 활용: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꼼꼼히 챙기기
  • 연금저축, IRP 가입: 세액공제 혜택으로 세금 줄이기
  • 부양가족 공제 제대로 신고: 부모님, 자녀 빠짐없이!

이런 디테일한 부분들이 실수령액을 몇 만원, 아니 몇 십만 원씩도 바꿀 수 있어요. 진짜예요!

4대 보험과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 각종 공제 항목이 빠지기 때문입니다. 이 금액은 약 12~15%에 달해 실수령액이 많이 줄어듭니다.

Q 실수령액이 사람마다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부양가족 수, 비과세 항목 포함 여부, 연말정산 결과, 상여금 지급 방식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Q 연봉계산기보다 실제 지급액이 다르면 어떻게 하나요?

연봉계산기는 대략적인 기준이므로 회사의 급여 구조나 개인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급여명세서를 확인해 보세요.

Q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많이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연금저축 등 다양한 공제 항목을 꼼꼼히 챙기고, 부양가족 등록도 빠짐없이 해야 합니다.

Q 실수령액을 조금이라도 높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비과세 항목을 최대한 활용하고, 연금저축/IRP 가입, 연말정산 전략 등을 통해 세금을 줄이는 것이 방법입니다.

Q 연봉이 오르면 실수령액도 비례해서 늘어나나요?

연봉이 오르면 공제액도 함께 커지고, 소득세가 누진세 구조라서 실수령액은 비례적으로 늘지 않을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UGU-UgkZWG8

 

지금까지 연봉 4천만 원의 실수령액에 대해 아주 현실적으로, 디테일하게 살펴봤어요. 예상보다 적은 실수령액에 실망했을 수도 있지만, 아는 만큼 지킨다는 말처럼 공제 항목 하나하나 꼼꼼히 챙기면 생각보다 덜 억울할 수 있어요.

 

매달 내 통장에 얼마가 들어오는지, 어디서 빠져나가는지 정확히 알고 대처하는 게 진짜 ‘현명한 월급쟁이’의 자세 아닐까요? 

 

 

 

 

 


-->